분류 전체보기4 [화학] Ch. 10.2 작용기 반응 (Functional Group Chemistry) 파트 2 이 포스팅은 저번 포스팅에서 이어집니다. 저번 포스팅은 이곳을 참고해주세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알코올의 산화반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코올은 알케인과 마찬가지로 산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케인과는 다르게 알코올에는 이미 산소 원자 하나가 존재하고, 이 때문에 분자가 이미 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알케인의 산화보다 에너지를 덜 방출합니다(=less exothermic). 그러므로 알코올의 산화 반응은 그냥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여기서 산화 반응은 타는 것(Combustion)과는 좀 다른데, 알코올도 불을 붙이면 잘 타지만, 이는 이 포스팅에서 다루는 알코올의 산화와는 같은 반응물이 들어가지만 다른 생성물이 나옵니다. 유기화학에서 다루는 알코올의 산화는 산화제(Oxidizing agent)를 .. 2022. 2. 15. [화학] 간략구조식과 골격 구조식(Condensed & Skeletal formula) 간략 구조식과(condensed structural formula) 골격 구조식(Skeletal formula)은 유기화학에서 자주 나오지만 IB 교육과정에서 따로 다루지 않습니다. 앞으로의 포스팅에서 가끔씩 간략 구조식과 골격 구조식을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기 위해 따로 포스팅을 만들었습니다. 먼저 간략 구조식과 골격 구조식 말고도 구조식에 다양한 종류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으실 겁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구조식은 루이스 구조식입니다. 루이스 구조식은 선과 점으로 원자 간의 결합을 나타냅니다. 점은 비결합 전자쌍(lone pair)을 나타내고(생략할 때도 있습니다.), 선은 결합을 표현합니다(선 대신 점 두 개로 공유 전자쌍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한 개의 선은 단일 결합(single.. 2022. 1. 10. [화학] Ch. 10.2 작용기 반응 (Functional Group Chemistry) 파트 1 이 단원에서는 유기화합물들이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에 대해서 배웁니다. 가장 먼저 다루는 반응은 10.1에 등장했던 동종 계열 중 하나인 알케인이 하는 반응입니다. 알케인은 앞서 포스팅에서 다뤘다시피 연료로도 사용됩니다. 연료로 사용될 때의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CnH2n+2 + O2 → CO2+ H2O 하지만 이런 반응 외에도, 알케인은 유리기 치환 반응, 혹은 자유 라디칼 치환 반응(free radical substitution,SR)이라는 반응을 할 수 있습니다. 자유 라디칼 치환 반응은 할로젠이 자외선과 반응하여 라디칼을 생성하고, 이 라디칼이 알케인과 반응하는 반응입니다. 라디칼은 최외곽 전자(outer shell electron) 중에 짝이 없는 전자, 즉 전자가 홀수개가 있으면 .. 2022. 1. 10. [화학] Ch. 10.1 유기 화학의 기초 (Fundamentals of Organic Chemistry) 이 소단원은 IB 화학에서 가장 길고 어렵다고 할 수 있는 단원인 10단원의 시작입니다. 10단원이 어렵긴 하지만 기초가 잡혀 있다면 흥미를 느끼기도 쉬운 단원이니, 기초를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10.1 소단원에서는 앞으로 유기화학에서의 뼈대가 될 작용기와 명명법, 이성질체 등을 다룸으로, 이 단원을 확실히 공부해 놓으면 앞으로 유기화학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0단원을 공부하기 전에, 간략구조식과 골격구조식에 대해 다룬 제 포스팅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동종 계열(homologous series)에 속하는 분자들은 같은 작용기 (예: OH-, -CHO 등등)을 지니고 있으며 같은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 알케인: CnH2n-2, 알켄: CnH2n 등등) 같은 .. 2022. 1. 9. 이전 1 다음